popup zone

장하용교수
  • 연락처
    02-2260-3804
  • E-mail
    comjang@dongguk.edu
  • 교수연구실
    사회과학관 M515호
  • 최종 학력
    뉴욕주립대학교(버팔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 전공 분야
    저널리즘, 조직커뮤니케이션
  • 세부 연구분야
    언론학, 인간 커뮤니케이션, 조직 커뮤니케이션
  • 학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사회교육학과 사회교육학사, 한국
  • 석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석사, 한국
  • 박사학위 과정
    New York 주립대학교 언론학과 언론학박사, 미국
  • 내용
    장하용 교수는 1995년 뉴욕주립대학교(버팔로)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1996년부터 동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이사, 언론중재위원, 정기간행물자문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밖에 국민권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자문위원 활동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정부 부처에 조언을 수행하였다.
    현재 학부과정에서 저널리즘론, 조직커뮤니케이션, 인간커뮤니케이션 과목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원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론연구, 언론학연습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는 방송저널리즘 혁신(공저), 미디어윤리의 이론과 실제(역)가 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올바른 저널리즘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학술적으로 제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의사소통 양식의 변화가 조직 내 조직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쉽게 전달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이호규교수
  • 연락처
    02-2260-3591
  • E-mail
    hokyulee@dongguk.edu
  • 교수연구실
    동국관 M509호
  • 최종 학력
    Indiana University, Telecommunications 박사
  • 전공 분야
    뉴미디어 정보통신
  • 세부 연구분야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주체와의 관계, 매체 철학, 남북한 커뮤니케이션
  • 학사학위 과정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사
  • 석사학위 과정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석사
  • 박사학위 과정
    Indiana(Bloomington)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박사
  • 담당 과목
    신문방송학입문 / 커뮤니케이션사 / 디지털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 문화와커뮤니케이션
  • 대표 논문
    통신과 방송 융합 현상에 대한 규제 제도 비교 연구
    자크 에륄의 테크닉과 그의 커뮤니케이션 관
    주체형성 장치로서의 가상공간과 커뮤니케이션 모델
김관규교수
  • 연락처
    02-2260-3859
  • E-mail
    kwankyu@dongguk.edu
  • 교수연구실
    동국관 M533호
  • 최종 학력
    게이오대학교 사회학과 사회학박사
  • 세부 연구분야
    양방향성채널을통한인간관계형성, 양방향성채널에서의발신행동 TV토론전략
  • 학사학위 과정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사
  • 석사학위 과정
    게이오대학교 사회학과 사회학석사
  • 박사학위 과정
    게이오대학교 사회학과 사회학박사
  • 담당 과목
    매스컴연구방법 / 방송제작입문 / 방송학 개론 / 매스컴사회통계학
  • 대표 논문
    국내 데이터방송서비스 산업현황 분석 및 법적ㆍ제도적 쟁점에 관한 연구
    다 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전파에 관한 연구
    대학생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과 투표행동
강재원교수
  • 연락처
    02-2260-8588
  • E-mail
    jaekang@dongguk.edu
  • 교수연구실
    사회과학관 M523호
  • 최종 학력
    University of Florida, Mass Communication 박사(Ph.D.)
  • 세부 연구분야
    방송통신 및 뉴미디어 산업 및 정책
  • 학사학위 과정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사, 한국
  • 석사학위 과정
    Michigan State University, Telecommunication 석사(M.A.)
  • 박사학위 과정
    University of Florida, Mass Communication 박사(Ph.D.)
  • 내용
    강재원 교수는 1986년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하여 1993년 졸업한 후 방송프로그램 제작사(디지털미디어(주))와 광고대행사(제일기획(주))에서 방송프로그램 제작PD 및 홍보영상 프로듀서로 재직하였다. 1998년-2003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와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정보통신학과 대중매체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정보통신정책연구소에서 융합정책분야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2005년 2학기에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에 임용되어 현재 정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통령 방송통신비서실 정책자문위원회의 위원과 국회 방송공정성특별위언회 자문위원, 방송통신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등의 활동으로 방송 및 미디어 산업 다양한 분야에 관해 정부와 국회에 조언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방송대상 예심 및 본심 심사위원과 불교언론문화상 심사위원으로 수 차례 참여하였고, 방송통신콘텐츠 미래포럼 위원 및 미래 스마트미디어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최근 MBC재단 방송문화진흥회 이사를 역임하여, 지상파방송사의 경영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한 바 있으며, 21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학부과정은 미디어산업론, 방송학개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원과정은 텔레커뮤니케이션정책론, 미디어경영론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미디어경영/경제학, 정책학, 산업조직론이며, 주요저서로는 ‘사회과학자가 보는 4차 산업혁명, 2018(공저)’가 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문의 성과물이 사회적으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는 신념으로 정부의 정책형성 활동에 참여하고 이와 함께 다양한 언론 매체의 칼럼을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중에는 YTN에서 수회 방송된 『YTN매체비평』과 아시아경제신문에 연재된 『IT칼럼』 등이 있다.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적 규제와 민간 자율 간 균형이라는 관점을 갖고 사회구조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정용국교수
  • 연락처
    02-2260-8917
  • E-mail
    ykemjy@dongguk.edu
  • 교수연구실
    동국관 M530호
  • 최종 학력
    Indiana University 박사
  • 전공 분야
    미디어 심리학
  • 세부 연구분야
    미디어 이용과 효과
  • 학사학위 과정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문학사
  • 석사학위 과정
    Iowa State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커뮤니케이션학석사
  • 박사학위 과정
    Indiana(Bloomington)대학교 신문방송학과 Mass Communication Ph.D.
  • 담당 과목
    매스컴이론 / 미디어심리학 / 신문방송학입문 / 미디어시사영어
  • 대표 논문
    The role of communication storytelling networks in bullying
    TV 뉴스의 선정성이 정서, 기억, 뉴스 평가 및 갈등 지각에 미치는 영향
    MMORPG 이용과 오라인 및 오프라인 리더십 경험에 관한 연구
황하성교수
  • 연락처
    02-2260-3592
  • E-mail
    hhwang@dongguk.edu
  • 교수연구실
    동국관 M528호
  • 최종 학력
    Temple University, Mass Media and Communication 박사
  • 전공 분야
    미디어커뮤니케이션
  • 세부 연구분야
    Human-Computer Interaction, Internet & Mobile Communication, Presence & Social presence
  • 학사학위 과정
    한양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한국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라디오 TV&필름학과, 미국
  • 석사학위 과정
    Temple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방송 통신&매스 미디어학과, 미국
  • 박사학위 과정
    Temple대학교 매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미국
  • 내용
    황하성 교수는 1987년 한양대학교 가정관리학과에 입학하여 1991년에 졸업한 후 프리랜서 방송작가로 활동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1998년 미국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라디오 TV&필름학과)에서 학사학위를, 1999년-2005년 미국 템플대학교에서 미디어 & 커뮤니케이션학 석사박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 1학기에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 임용되어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HCI론, 설득과 캠페인, 미디어 스토리텔링 등의 학부 과목과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설득커뮤니케이션 연구 등의 대학원 과목을 맡고 있다.
    미디어 관련 활동으로는 2009년-2010년까지 MBC평가원을 역임하였으며, 2022년 6월부터 YTN 라디오 시청자 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 여성 커뮤니케이션 학회 총무이사, 한국방송학회 연구 이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2022년 한국 인터넷 정보 학회 운영이사와 한국 방송학회 <방송학보> 편집 이사를 맡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인터넷, 모바일, SNSs) 의 이용과 효과, 사회적 영향력이며, 대표 논문으로는 “Why Instagram: the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Instagram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Why we migrate in the virtual world: factors affecting switching intentions in SNSs 등이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연구결과들을 국내외 저명 학회지에 게재하였다.
김용환교수
  • 연락처
    02-2260-8916
  • E-mail
    yhkim17@dongguk.edu
  • 교수연구실
    사회과학관 M407-1
  • 최종 학력
    Ph.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전공 분야
    Emerging Media, Digital Journalism
  • 세부 연구분야
    Emerging Medi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Digital Journalism, Media Psychology, Media Effects